-
지난봄 절기에 이어 이번엔 여름의 초입, 본격적인 벼농사가 시작되는 절기.
망종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절기 '망종'의 의미
망종(芒種)은 음력 5월, 양력 6월 6일 무렵으로 24 절기 중 아홉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입니다. 이번해에도 6월 6일이 현충일이자 망종 절기였습니다. 망종이란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종자를 뿌리기에 적당한 시기라는 뜻입니다. 이에 따라, 과거에는 벼와 같은 곡식의 종자를 뿌리기에 적당한 시기로 모내기와 보리 베기에 알맞은 때였습니다.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벼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다.'라는 말도 있으며 ‘햇보리를 먹게 될 수 있다는 망종’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보통 망종까지는 모두 보리를 베고 논에 벼도 심었으며, 본격적인 밭갈이도 시작하게 되는 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망종은 보리 수확의 시기!
'망종보기'는 한 해 농사의 풍흉을 가늠하는 지표가 되는 망종 시기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음력 4월에 망종이 들어온다면 보리 수확이 빠르고 풍년이 들 것으로 예측합니다. 그러나 망종이 5월에 오면 보리 수확이 늦어져 망종 시기를 넘기게 됩니다. 결국 망종 시기에 따라 그 해 보리 수확이 빠를지 늦을지가 결정되는 것입니다.
또한 "망종이 4월에 오면 보리를 먹을 수 있지만 5월에 오면 먹을 수 없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이 속담은 풋보리가 나오자마자 바로 먹었던 풍습을 일컫는 말입니다. 식량이 부족했던 시절, 사람들은 풋보리가 완전히 익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서둘러 베어 먹었습니다. 따라서 망종 시기가 지나게 되면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미련 없이 보리를 수확해야 합니다. 이러한 정서를 반영하여 "보리는 망종 삼 일 전에 베어야 한다"는 속담이 있다고 합니다.
망종에 관련된 풍습과 생활 모습
한국의 여러 지역에서는 모내기와 보리 수확 시기, 그리고 망종 시기에 다양한 풍습과 민간 속설이 존재합니다.
보리 재배가 많은 남부 지방에서는 이 시기에 농촌이 활기차게 돌아갑니다. 과거 농민들은 열심히 농사일에 몰두하고, 일 년 중 가장 바쁜 시기로 알려져 있으며, "발에 오줌 싼다"라고 불릴 만큼 매우 바쁜 농사철이기도 합니다.
서남쪽에 위치한 전라남도에서는 망종일에는 '보리 그을음'이라는 풍속이 있습니다. 보리 그을음은 남은 풋보리를 잘라 그을음이라는 음식으로 만들어 먹는 풍습입니다. 이 의식은 다음 해의 보리농사가 잘되고 보리농사가 건강하게 잘되고 맛있는 보리밥을 먹을 수 있게 해 준다고 믿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밤이슬에 보리를 적셔 다음날 먹기도 합니다. 이렇게 하면 허리가 아픈 것을 완화하고 일 년 내내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또한, 지역마다 망종과 관련되어 농사에 관한 점을 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전라남도, 충청남도, 제주도에서는 망종에 하늘에서 천둥이 크게 울리면 그 해 농사가 흉년이 든다고 여겨 불길한 징조로 여깁니다. 경상남도의 섬 지역에서는 망종을 늦거나 일찍 들으면 길하지 않고, 음력 4월 중간에 들어서면 상서롭다고 여겼습니다.
또 다른 흥미로운 전통은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 죽을 만들어 먹는 것입니다. 이삭을 손으로 비벼 보리 알갱이를 모아 솥에 볶은 후에 맷돌에 갈아서 죽을 끓여 먹습니다. 이렇게 만든 보리죽을 먹으면 여름철에 보리밥을 먹고도 속이 불편하지 않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빨라진 모내기 시기
파종기는 일반적으로 벼와 보리 등 곡물을 심기에 적합한 시기로 여겨지며 전통 농경 방식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보리는 망종 전에 수확해야 한다'는 속담에 따라 망종이 되기 전에 모내기와 밭 정리를 마치는 것이 필수적이었습니다. 보리가 여물어 익은 후에 바람이 많이 불면 보리가 쉽게 쓰러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현대에 들어서는 농사 기술의 발전으로 플라스틱 모판에서의 모의 생육 기간은 약 10일 정도 단축되었습니다. 그 결과 모내기는 이전보다 한 절기 빠른 소만 무렵부터 시작됩니다. 이어 망종이 지난 후에는 하지 절기가 다가오며, 여름철의 무더위가 점차 시작됩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